Digital Collections

Alan MacDiarmid Nobel Lecture at Ewha University, South Korea

  • Synthetic Metals: A Novel Role for Organic Polymers

  • 2001-May-11

These captions and transcript were generated by a computer and may contain errors. If there are significant errors that should be corrected, please let us know by emailing digital@sciencehistory.org.

Transcript

00:00:01 This lecture series was made possible in partnership with

00:00:04 The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,

00:00:07 and by viewers like you.

00:00:10 Thank you for watching.

00:00:30 Thank you for watching.

00:01:00 Thank you for watching.

00:01:30 This lecture series was made possible in partnership with

00:01:33 The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,

00:01:36 and by viewers like you.

00:01:39 Thank you for watching.

00:01:42 It is my great honor and privilege to introduce

00:02:00 2,000 Nobel laureates in chemistry,

00:02:03 Professor Alan T. Nefter, as our very special guest

00:02:07 to you to deliver his Nobel lecture.

00:02:10 Today, in commemoration of the 50th anniversary

00:02:13 of the chemistry department at the University.

00:02:17 From this point, I would like to continue

00:02:20 this introduction in Korean.

00:02:40 Professor Nefter has written more than 600 papers,

00:03:05 and has written more than 20 patents.

00:03:08 In fact, it would be very difficult to read

00:03:12 600 papers of someone else's research,

00:03:15 but it is very difficult to write a complete paper

00:03:18 and publish it.

00:03:21 I think this is a great achievement.

00:03:32 Professor Nefter is called the father of

00:03:35 conductive high-voltage, or more specifically,

00:03:38 hot-voltage metals.

00:03:41 This high-voltage metal is a plastic,

00:03:44 but it can be used for electricity.

00:03:47 This was a very positive statement.

00:03:50 After doing this, he continued to use

00:03:53 high-voltage metals to find new oils.

00:03:56 He became the father of conductive high-voltage metals

00:04:00 Professor Nefter, in the mid-1970s,

00:04:03 collaborated with Professor Alan Heaver

00:04:06 and Professor Hideaki Shirakawa

00:04:09 to conduct a joint study in Pennsylvania

00:04:12 to find a plastic that emits electricity.

00:04:15 These three people were recognized

00:04:18 as contributing to human civilization,

00:04:21 and they were awarded the Nobel Prize in Chemistry

00:04:24 in 2000.

00:04:27 The discovery that plastic can emit electricity

00:04:30 was a turning point in the world of imagination.

00:04:33 I think that this new plastic material,

00:04:36 which is more important than ever,

00:04:39 can be used as a high-tech material

00:04:42 in the future.

00:04:45 Professor Nefter used

00:04:48 conductive high-voltage metals

00:04:51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

00:04:54 of nanotechnology.

00:04:57 This is the focus of his research.

00:05:00 As I talked with Professor Nefter,

00:05:03 I learned that there are two main points

00:05:06 that Professor Nefter emphasized.

00:05:09 One is his belief in the great impact

00:05:12 of joint research between scientists

00:05:15 and the academic community.

00:05:18 The other is his belief that

00:05:21 human beings are more important

00:05:24 than any value in the world.

00:05:27 Let me introduce Professor Nefter.

00:05:30 Please give him a round of applause.

00:05:48 Professor Hahn,

00:05:51 our honored guests,

00:05:54 and fellow students.

00:05:57 I use the term fellow students

00:06:00 because I am a student,

00:06:03 I'm still learning,

00:06:06 and everyone in this room is a student.

00:06:09 I always say that

00:06:12 when I stop learning,

00:06:15 I start dying,

00:06:18 and I have to live for a few more years.

00:06:28 However, I think that

00:06:31 everyone in this room is a student.

00:06:34 If you give up your life

00:06:37 because you stop learning,

00:06:40 you are already a dead person.

00:06:43 I am very happy to be here

00:06:46 with my fellow students.

00:06:58 I'm honored to be here

00:07:01 and to be a part of your

00:07:04 very famous university today,

00:07:07 and especially because

00:07:10 we are all celebrating here

00:07:13 the 50th anniversary

00:07:16 of the establishment

00:07:19 of the chemistry department

00:07:22 at Ewha University.

00:07:28 A few years ago,

00:07:31 there was a very good

00:07:34 first year chemistry textbook

00:07:37 published in America,

00:07:40 and the title of the textbook

00:07:43 was Chemistry,

00:07:46 the Central Science.

00:07:49 Chemistry, the Central Science,

00:07:52 and I think this is a very good

00:07:55 title since it tells us

00:07:58 that chemistry interacts

00:08:01 with almost all of the

00:08:04 important physical sciences.

00:08:07 So chemistry,

00:08:10 we are proud of you,

00:08:13 chemistry, and we are proud

00:08:16 of ourselves, those of us

00:08:19 who are chemists.

00:08:26 This afternoon,

00:08:29 I would like to share with you

00:08:32 for a short time,

00:08:35 if I may,

00:08:38 and that is the lecture

00:08:41 which I gave

00:08:44 at the beginning

00:08:47 of the semester.

00:08:50 The lecture was

00:08:53 which I gave in Stockholm

00:08:56 in Sweden

00:08:59 last December the 8th

00:09:02 as my Nobel Prize

00:09:05 award lecture.

00:09:08 So it's basically

00:09:11 the same lecture,

00:09:14 but I have left out

00:09:17 some of the more

00:09:20 difficult parts

00:09:23 of the lecture.

00:09:26 So it looks as if

00:09:29 I'm used to be

00:09:32 doing a celebration dance

00:09:35 at the beginning

00:09:38 of the lecture,

00:09:41 but it's actually

00:09:44 a celebration dance

00:09:47 a celebration dance.

00:09:53 You will notice that

00:09:56 in the...

00:10:02 Well, there are plenty of things

00:10:05 to talk about, so we can go ahead

00:10:08 with this a little,

00:10:11 and it makes life very much more interesting.

00:10:18 We can see up here

00:10:24 that there it has

00:10:27 MP1, which stands for

00:10:30 Nobel Prize No. 1,

00:10:33 and this is the top number

00:10:36 at the top of every transparency.

00:10:47 When I pointed this out

00:10:50 in the lecture a few weeks ago,

00:10:53 everybody laughed

00:10:56 because I thought I was talking about

00:10:59 Nobel Prize No. 1, Nobel Prize No. 2,

00:11:02 and Nobel Prize No. 3.

00:11:05 But one will be able to see

00:11:08 that these are really

00:11:11 the main transparencies,

00:11:14 but to begin with,

00:11:17 I will want to

00:11:20 share with you

00:11:23 some parts of the

00:11:26 Nobel Prize celebrations

00:11:29 in Stockholm,

00:11:32 which no one usually knows anything about

00:11:35 and which nobody talks about,

00:11:38 but I will talk about it with you, if I may.

00:11:44 So, here then,

00:11:47 we have a...

00:11:50 this is actually taken from the web,

00:11:53 and this is a picture

00:11:56 of the Nobel Prize ceremony

00:11:59 in Stockholm,

00:12:02 and this is a picture of

00:12:05 the Nobel Prize ceremony

00:12:08 in Stockholm,

00:12:12 and the Nobel Foundation

00:12:15 has published everything on the web,

00:12:18 and one can find more about it here,

00:12:21 and this is then a photo

00:12:24 of the Nobel Prize medal

00:12:27 On one side, Alfred Nobel,

00:12:30 and on the other side

00:12:33 the goddess of learning.

00:12:41 왼쪽은 노벨이고 오른쪽은 그 뒷편의 사람들을 보십시오.

00:12:46 뒷면을 보면,

00:12:49 Alfred Nobel은

00:12:52 1833년에 스웨덴에서 태어났고,

00:12:55 1896년에 죽었습니다.

00:13:17 그리고 그는,

00:13:19 많은 분들이 아는 것처럼,

00:13:22 다이너마이트의 개발자이었습니다.

00:13:25 그리고 그는

00:13:28 액체와 함께 작업을 시작했습니다.

00:13:31 그것이 블라스팅 오일이라고 불렸습니다.

00:13:34 하지만 안타깝게도

00:13:37 블라스팅 오일은

00:13:40 때때로 폭발합니다.

00:13:47 그리고 안타깝게도,

00:13:50 그의 형제 중 한 명이

00:13:53 블라스팅 오일과 함께

00:13:56 블라스팅 오일을 만들면서

00:13:59 블라스팅 오일 팩토리에서

00:14:02 삶을 잃었습니다.

00:14:16 그러나, 노벨은

00:14:19 블라스팅 오일을

00:14:22 클레이로 섞으면,

00:14:25 폭발의 좋은 성분이 남아있지만,

00:14:28 폭발하지 않았기 때문에,

00:14:31 사용하기에는 안전했습니다.

00:14:46 그리고 많은 분들이

00:14:49 다이너마이트의 스티커가

00:14:52 그렇게 안전하다고 말합니다.

00:14:55 그 스티커를 손에 잡고,

00:14:58 끝에 불을 켜고,

00:15:01 그 스티커가 불을 켜고,

00:15:04 그 스티커가 불을 켜고,

00:15:07 그 스티커가 불을 켜고,

00:15:10 그 스티커가 불을 켜고,

00:15:13 그 스티커가 불을 켜고,

00:15:16 저는 실험사의 사인이지만,

00:15:19 그렇게 실험적이지 않습니다.

00:15:31 노벨은 평화에 대한 사람이었는데,

00:15:34 그는 평화에 대한 사람이었는데,

00:15:37 그는 평화에 대한 사람이었는데,

00:15:40 그는 다이너마이트가

00:15:43 사람들을 죽인다.

00:15:46 그는 다이너마이트가 전쟁의 전쟁으로

00:15:49 사람들이 죽인다.

00:15:52 그는 다이너마이트가 전쟁의 전쟁으로

00:15:55 사람들이 죽인다.

00:15:58 그는 전쟁의 전쟁으로

00:16:01 사람들이 죽인다.

00:16:04 그는 그가 죽은 때,

00:16:07 그는 모든 인간을

00:16:10 사람을 죽인다.

00:16:13 그는 모든 인간을 죽인다.

00:16:16 그는 모든 인간을 죽인다.

00:16:19 그는 모든 인간을 죽인다.

00:16:22 그는 모든 인간을 죽인다.

00:16:25 그래서 지난 99년,

00:16:28 그리고 올해는

00:16:31 노벨의상 100위가 될 것입니다.

00:16:34 매년 6개의 지역이

00:16:37 기념을 받습니다.

00:16:40 그리고 각 지역은

00:16:43 약 1억만 달러의

00:16:46 1억만 달러의

00:16:49 1억만 달러의

00:16:52 1억만 달러의

00:16:55 1억만 달러의

00:16:58 1억만 달러의

00:17:01 1억만 달러의

00:17:04 1억만 달러의

00:17:06 1억만 달러의

00:17:09 1억만 달러의

00:17:12 1억만 달러의

00:17:15 1억만 달러의

00:17:18 1억만 달러의

00:17:21 1억만 달러의

00:17:24 1억만 달러의

00:17:27 1억만 달러의

00:17:30 1억만 달러의

00:17:33 작년 pres. Mr Lai

00:17:38 작년 pres. Mr Lai

00:17:43 작년 pres. Mr Lai

00:17:46 작년 pres. Mr Lai

00:17:49 우주 2.0

00:17:52 우주 2.0

00:17:57 작년 我

00:17:59 다 알고 계시다시피 김대중 대표님께서 노벨평화상을 수상 하셨죠

00:18:04 어제 노벨상을 받은 저를 포함한 은ographic

00:18:08 여러 사람이 김대중 대표님을 방문하고 다시 한번 찾아여서 아주 반가웠습니다

00:18:16 유한의 return

00:18:19 양 RPM

00:18:20 김대중 대표님

00:18:29 노벨화학상 작년에 수상한 노벨상상 굉장히 큰 의미를 갖는다고 보는데 이것은 학문과 학생 간의 공동연루를 기념해서 수상을 하게 되었기 때문이죠

00:18:55 일본에서 온 히데키 시르카와는 폴리너 학생입니다

00:19:04 저는 미국에서 45년을 살고 있는 뉴질랜드 출신의 오리지널 메탈릭 학생과

00:19:17 우리는 아주 다른 분야의 사람들이 모여서 함께 연구를 하는 경우인데요

00:19:26 히데키 시르카와 교수는 폴리너 고분자학을 전공한 사람이고 저는 무기화학자인데 유기금속을 전공한 사람이었고

00:19:36 아론 히거 교수는 물리학자였습니다

00:19:40 아론 히거 교수는 저랑 같이 유니버스 펜실베이지아의 교수로 계셨습니다

00:20:06 교수님은 유니버스 펜실베이지아의 교수로 계셨습니다

00:20:46 히데키 시르카와의 실제 일을 한다는 것은 당시만의 상상이 어렵고 사람들이 금기시하는 일이었습니다

00:20:56 하지만 우리들은 같이 모여서 어렵기를 했어요

00:21:00 물리학자가 이용하는 용어나 화학자가 이용하는 용어들이 다 다르기 때문에 어렵기를 했지만 그래도 같이 모여서 일을 하게 되죠

00:21:08 우리가 일하는 곳은 펜실베이지아 대학이라는 한 곳이었습니다

00:21:13 거기에서 물리와 화학과 그리고 재료과학이 모여서 일을 한 셈이 되죠

00:21:44 오늘 저녁에 이 분이 전 세계의 비슷한 사람과 같은 작업을 하셨습니다

00:21:51 전 세계의 비슷한 사람과 같은 작업을 하셨습니다

00:21:55 전 세계의 비슷한 사람과 같은 작업을 하셨습니다

00:22:05 전 세계의 비슷한 사람과 같은 작업을 하셨습니다

00:22:13 전 세계의 비슷한 사람과 같은 작업을 하셨습니다

00:22:21 직접 들어가기 전에 사진을 보여드리겠습니다

00:22:51 노벨 세리머니의 수상 장면을 보시는 분들이 계십니다

00:23:01 노벨 세리머니의 수상 장면을 보시는 분들이 계십니다

00:23:31 여기에는 왕, 여왕, 프린세스, 프린스 등이 있습니다

00:23:41 여기에는 왕, 여왕, 프린세스, 프린스 등이 있습니다

00:23:51 여기에는 왕, 여왕, 프린세스, 프린스 등이 있습니다

00:24:01 여기에는 왕, 여왕, 프린세스, 프린세스 등이 있습니다

00:24:11 여기에는 왕, 여왕, 프린세스 등이 있습니다

00:24:21 여기에는 왕, 여왕, 프린세스 등이 있습니다

00:24:31 여기에는 왕, 여왕, 프린세스, 프린세스 등이 있습니다

00:24:41 여기에는 왕, 여왕, 프린세스, 프린세스 등이 있습니다

00:24:51 여기에는 왕, 여왕, 프린세스 등이 있습니다

00:25:01 여기에는 왕, 여왕, 프린세스 등이 있습니다

00:25:11 오후 4시에 열리는 수상 기념식을 위해서 오전 10시부터 열심히 연습을 했습니다

00:25:21 오후 4시에 열리는 수상 기념식을 위해서 오전 10시부터 열심히 연습을 했습니다

00:25:31 항상 왕을 쳐다봐라

00:25:39 항상 왕을 쳐다봐라

00:25:49 항상 왕을 쳐다봐라

00:25:59 왕을 쳐다봐라

00:26:09 왕을 쳐다봐라

00:26:19 왕을 쳐다봐라

00:26:29 왕을 쳐다봐라

00:26:39 왕을 쳐다봐라

00:26:47 왕을 쳐다봐라

00:26:57 왕을 쳐다봐라

00:27:07 왕을 쳐다봐라

00:27:17 왕을 쳐다봐라

00:27:27 왕을 쳐다봐라

00:27:37 왕을 쳐다봐라

00:27:47 왕을 쳐다봐라

00:27:57 왕을 쳐다봐라

00:28:07 왕을 쳐다봐라

00:28:17 왕을 쳐다봐라

00:28:27 왕을 쳐다봐라

00:28:37 왕을 쳐다봐라

00:28:47 왕을 쳐다봐라

00:28:57 왕을 쳐다봐라

00:29:07 왕을 쳐다봐라

00:29:17 왕을 쳐다봐라

00:29:27 왕을 쳐다봐라

00:29:37 왕을 쳐다봐라

00:29:47 왕을 쳐다봐라

00:29:57 왕을 쳐다봐라

00:30:07 왕을 쳐다봐라

00:30:17 왕을 쳐다봐라

00:30:27 왕을 쳐다봐라

00:30:37 왕을 쳐다봐라

00:30:47 왕을 쳐다봐라

00:30:57 왕을 쳐다봐라

00:31:07 왕을 쳐다봐라

00:31:17 이것이 노벨메달입니다

00:31:20 제가 한 번도 직접 본 적이 없었습니다

00:31:34 가장 큰 금 덩어리라는 것이 이빨에 넣은 금입니다

00:31:40 가장 큰 금 덩어리라는 것이 이빨에 넣은 금입니다

00:31:50 이 금을 잡고 싶으신 분은

00:31:58 이 금을 잡고 싶으신 분은

00:32:06 이 금을 잡고 싶으신 분은

00:32:12 이 금을 잡고 싶으신 분은

00:32:22 이 금을 잡고 싶으신 분은

00:32:32 이 금을 잡고 싶으신 분은

00:32:40 이 금을 잡고 싶으신 분은

00:32:50 이 금을 잡고 싶으신 분은

00:33:00 이 금을 잡고 싶으신 분은

00:33:10 이 금을 잡고 싶으신 분은

00:33:20 이 금을 잡고 싶으신 분은

00:33:28 이 금을 잡고 싶으신 분은

00:33:38 이 금을 잡고 싶으신 분은

00:33:48 이 금을 잡고 싶으신 분은

00:33:58 이 금을 잡고 싶으신 분은

00:34:08 이 금을 잡고 싶으신 분은

00:34:18 이 금을 잡고 싶으신 분은

00:34:28 이 금을 잡고 싶으신 분은

00:34:36 이 금을 잡고 싶으신 분은

00:34:46 이 금을 잡고 싶으신 분은

00:34:56 이 금을 잡고 싶으신 분은

00:35:06 이 금을 잡고 싶으신 분은

00:35:16 이 금을 잡고 싶으신 분은

00:35:25 이 유기고분자는 그대로 그냥 플라스틱으로 있을 때에는

00:35:31 반도체나 혹은 절연체 전기를 통하지 않는 그런 상태로 있다가

00:35:36 도핑이라는 그런 과정을 거치면서는

00:35:39 전도성이 있는 플라스틱으로 변하게 되죠

00:35:54 여기에는 바닥 전도성이 있습니다

00:35:57 여기에는 코트, 나일론, 다이아몬드 등이 있습니다

00:36:02 여기에는 아주 좋은 전기 전도성이 있습니다

00:36:08 코퍼, 실버 등

00:36:10 여기에는 중간 전도성이 있습니다

00:36:16 실리콘 등이 있습니다

00:36:23 이 전도성 차치를 살펴보시면요

00:36:26 수정이나 나일론이나 다이아몬드 같은 전기통하지 않는 절연 부분이 있고

00:36:31 전기를 잘 통하는 체컥댕이 부분은 부비, 은 이런 것들이 있네요

00:36:37 그리고 중간에 또 세미사안정극 같은 것은 전기를 중간 정도로 통하는 세기를 가지고 있습니다

00:36:46 여기에는 프로토타입 전도성인 폴리에세밀린과 폴리애밀린 등이 있습니다

00:37:01 폴리에세밀린과 폴리애밀린은 세계에서 3개의 국가에서 생산되고 있습니다

00:37:32 어디에서든지 찾으시면 됩니다

00:37:36 아니요, 괜찮습니다

00:37:38 괜찮습니다

00:37:40 아주 흥미로운 점은

00:37:44 모든 것들이 끝나지 않는 것입니다

00:37:47 25년 전에

00:37:50 저희는 25년 전

00:37:54 전기통하는 폴리에세밀린과 폴리애밀린에 대한 작업을 시작했습니다

00:38:01 그러나 계속해서 새로운 것들이 발견되고 있습니다

00:38:25 예를 들어, 몇 주 전에

00:38:28 미국의 루센트 테크놀로지 회사에서

00:38:35 오리지널 폴리에세밀린과 폴리애밀린의 첫 번째 예시를 발표했습니다

00:38:43 오리지널 폴리에세밀린과 폴리애밀린의 첫 번째 예시입니다

00:38:54 예를 들면, 몇 주 전에 미국의 한 회사에서 개발해낸 것이

00:39:00 유기고분자이면서 그것이 초전도성을 띠고 있는

00:39:05 그러한 고분자가 개발이 되었습니다

00:39:25 그러나 그것은 놀라운 현상입니다

00:39:32 그것은 체육과 기술에서 완전히 새로운 컨셉을 개발합니다

00:39:54 화학의 새로운 장이 될 것입니다

00:40:25 전도성 고분자의 특징은, 전도성 고분자를 합성 금속이라고 부르는 이유는

00:40:31 유기고분자에서도 그 성격은 금속같은 성격을 띠고 있습니다

00:40:36 전기성, 자리성, 그리고 광학성을 가지고 있는데 그것이 금속과 같고요

00:40:41 하지만 전통적인 고분자와 마찬가지로

00:40:45 잘 휘어진다든지, 잘 망가질 수도 있고, 구조가 변형될 수도 있고

00:40:50 그런 일반적인 고분자와 똑같은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

00:40:58 그래서 우리는 유기고분자에 대한 도핑을 소개해야 합니다

00:41:08 유기고분자에 대한 도핑을 통해

00:41:13 유기고분자의 특징을 변형시킬 수 있다면

00:41:18 유기고분자의 특징을 변형시킬 수 있습니다

00:41:26 여기에서 번역을 하시나요?

00:41:30 아니면 제가 여러분께 남겨놓을까요?

00:41:33 도핑을 통해서 유기고분자가 전기를 띠게 되는데요

00:41:40 도핑은 굉장히...

00:41:44 도핑이 뭘 하는 거냐면

00:41:47 유기고분자에 불순물같이 생각되는 아주 작은 화학물질을 소량을 집어넘어서

00:41:55 그 성격이나 구조가 완전히 변하게 되게끔 하는 그런 것을 도핑이라고 얘기합니다

00:42:03 유기고분자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는 방법은 이렇게요

00:42:15 예를 들어, 우리는 주방에서 흰 케이크를 만들고 있습니다

00:42:22 도핑은 화학적인 용어이지만 일반적으로 여러분이 이해하기 쉽게 설명을 해드리면

00:42:34 우리 부엌에서 예를 들어서 흰 케이크를 만든다고 생각하는 거죠

00:42:52 그 흰색 케이크에다가 빨간색 색소를 한 방울만 집어넣는다면, 굉장히 소량을 집어넣는다면 어떻게 될까요?

00:43:07 그 흰 케이크는 사실은 흰색이었는데 그 소량의 조그마한 불순물인 그 색소 때문에 전부다 분홍색 케이크로 변하겠죠

00:43:21 하지만 그 소량의 조그마한 불순물이 그 케이크의 소량의 1백만 개일 수도 있습니다

00:43:31 그래서 그 소량의 빨간색 음식색소는 케이크의 도핑입니다

00:43:37 그것은 옵티블드 도핑입니다

00:43:51 그렇기 때문에 전체 흰색 케이크가 분홍색으로 색깔이 바뀌었죠

00:43:56 이럴 때 그 색소의 역할은 광학적인 도펀치라고 얘기할 수 있습니다

00:44:02 그러니까 이것이 도핑을 한 결과로 분홍색 케이크를 얻게 되는 거죠

00:44:21 도핑을 이용해서 광학적인 폴리머를 만드는 일을 초대한 사람이 폴리아세티르렌을 가지고 한 사람이 히데키 시라카노스입니다

00:44:29 이 분홍색 케이크는 폴리아세티르렌을 사용해서 광학적인 폴리머를 만들고 있는 것을 설명하기로 했습니다

00:44:34 이 분홍색 케이크는 폴리아세티르렌을 사용해서 광학적인 폴리머를 만들고 있는 것을 설명하기로 했습니다

00:44:42 이러한 이 도핑 개념을 이용해서 광학적인 폴리머를 만드는 일을 초대한 사람이 폴리아세티르렌을 가지고 한 사람이 히데키 시라카노스이기 때문입니다

00:44:52 용원에 꿈에서 같이 수상을 하였습니다

00:45:12 폴리아세티르는 히데키 시라카와 교수가 만든 화합을 보여드리고 있는데요

00:45:19 굉장히 반짝거리는 은색의 고급자입니다

00:45:23 이것이 무슨 알루미늄 포일같이 생긴 것인데

00:45:27 구조는 탄소 하나, 수소 하나 계속해서 연결되는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

00:45:57 히데키 시라카와는 한국어와 일본어 사이의 잘못된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

00:46:04 관중들은 이 흥미로운 이야기를 알고 계십니다

00:46:09 히데키 시라카와는 토쿄 연구원에서

00:46:15 폴리아세티르렌을 흰색의 화합으로 변환시켰습니다

00:46:31 히데키 시라카와 교수가 폴리아세티르렌을 만들기 위해서 아세티르렌 기체를 이용하였는데요

00:46:38 이때 한국의 그 과학자가 큰 공언을 하였습니다

00:47:00 우리가 일을 하다보면 언어적인 면에서 약간 문제가 있을 수도 있겠죠

00:47:30 히데키 시라카 교수가 한국 사람과 같이 할 때는

00:47:34 실제 폴리아세티르렌을 만들 때 필요로 되는 총매양을 1리물 농도로 넣어야 한다고 생각했었는데

00:47:47 학생들은 2-3일 후에 돌아와서

00:47:51 히데키 시라카 교수가 반응이 좋지 않다고 말했습니다

00:48:17 히데키 시라카 교수가 실험실에 들어갔는데

00:48:20 흰색의 파우더가 없었고

00:48:26 제대로 실험을 했다면 검은색의 파우더가 생겨야 했는데

00:48:32 그거와 전혀 상관없는 이상한게 생겼습니다

00:49:02 제가 여기서 그 랭기지의 차이점에서 오는 것을 일화하면서 얘기하고 있는데요

00:49:19 히데키 시라카 교수가 처음에 생각했던 것은 1리물 농도였습니다

00:49:23 그런데 실제 실험을 했을 때는 물 농도로 총매를 집어넣었죠

00:49:29 1리물에 비해서 물은 1000배나 농도가 강한 겁니다

00:49:33 그러니까 당연히 이상한 다른 결과가 나오게 된 거죠

00:50:00 히데키 시라카 교수님은 미국 펜실베니아 대학교를 졸업했고

00:50:04 그 교수님의 실험을 즐기셨습니다

00:50:07 그리고 우리는 이 아름다운 흰색의 파우더를 살펴보기 시작했습니다

00:50:29 미국에 한번 와서 나랑 같이 일을 해보지 않겠느냐 했더니

00:50:33 아 좋다고 그래서 미국에서 아주 재미있는 일을 같이 시작하게 되었습니다

00:51:00 히데키 시라카 교수가 사용한 폴리아세틀렌에 IOD를 쪼개줬습니다

00:51:14 요드의 증기를 쪼개줬더니 컴파운드가 어떻게 모양이 변했는지

00:51:22 전도선이 10에 10승이나 증가를 아주 굉장한 증가를 했죠

00:51:27 여기서 이 넣는 요드가 바로 도커트가 되는 거죠

00:51:51 이 IOD가 하는 일은 폴리머 사슬에서 전자를 떼어내는 일입니다

00:52:03 그래서 폴리머 사슬 자체가 플러스를 띄게 되는데요

00:52:09 그래서 P2P라고 이러한 방법을 P2P라고 하죠

00:52:13 전체 사슬에서 전자를 떼어내서 사슬이 플러스를 띄게 되는 그러한 모습을 갖춘 그런 도핑을 말합니다

00:52:23 이 IOD가 전자를 떼어냈습니다

00:52:28 이 전자를 떼어낼 수 있는 방법은

00:52:31 2개의 플러스 라이트 배터리와 폴리아세틀렌을 포지티브 터미널로 연결해서

00:52:39 똑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입니다

00:52:52 이제는 왜 전자에서 플러스 라이트 배터리를 메탈으로 옮겨야 할지 궁금합니다

00:52:59 그래서 여기서는 비교를 해보겠습니다

00:53:02 어떻게 해서 이 도핑이라는 프로세스에 의해서

00:53:06 전연체의 플러스 라이트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

00:53:22 우선 전기의 움직임은 전기의 전기입니다

00:53:52 이 도핑을 여기 해놓은 모습이거든요

00:53:55 플러스를 띄게 함으로써 엘렉트론이 잘 움직이게끔 한

00:54:07 우리 엘렉트론을 사람으로 다시 생각을 해볼까요

00:54:22 이 방은 엘렉트론과 이 벽은 엘렉트론으로

00:54:26 이 방에는 10배 정도 더 많은 사람이 있다면

00:54:32 그 벽에서 다른 방으로 걸어가기에는 매우 어려울 것입니다

00:54:52 일단 사람으로만 생각을 해도 사람이 아주 빽빽하게 있다면

00:54:56 그 사람이 이쪽에서 저쪽으로 움직이는 게 굉장히 어려울 겁니다

00:55:00 이것은 여기 있는 것입니다

00:55:03 원래의 폴리머에는 엘렉트론이 폴리머 체인에 꽉 채워져 있으므로

00:55:11 엘렉트론이 폴리머 체인 아래에서 움직이는 게 매우 어려울 것입니다

00:55:17 왜냐하면 엘렉트론이 꽉 채워져 있어서 움직이지 못합니다

00:55:31 그러나 이 방으로 돌아가면

00:55:34 1, 2백 명을 빼앗기면

00:55:38 그 벽에서 다른 벽으로 걸어가는 사람이 훨씬 쉽게 움직일 것입니다

00:55:44 다시 이 방을 예로 들면

00:55:47 여기 모여있는 사람이 한 1,000명쯤 들었으면

00:55:51 그 중에서 한 2, 300명을 빼내려면

00:55:54 나머지 사람들이 움직이는 것은 굉장히 쉬워질 겁니다

00:56:14 폴리아세틀렌으로 다시 돌아와서 얘기를 하면

00:56:17 엘렉트론이 처음에는 아주 빽빽하게 들어있어서 움직이지 못하니까

00:56:21 전기를 통하지 못하다가

00:56:23 도핑에 의해서 엘렉트론이 빠져나가고 나면

00:56:26 엘렉트론이 좀 부족하게 되죠

00:56:29 그러면 남아있는 엘렉트론들은 움직이가 쉽죠

00:56:32 이 엘렉트론의 움직임으로 인해서

00:56:35 전기가 통하는 플라스틱이 생기게 되는 것입니다

00:56:39 이 종류의 도핑을

00:56:42 리덕스, 도핑, 줄이기, 관찰이라고 부릅니다

00:56:45 그리고 25년 동안

00:56:49 세계적으로 많은 연구소에서

00:56:52 이런 종류의 폴리아세틀렌이 발견되었습니다

00:56:57 이것들은 그 중에서 몇 가지의 예시입니다

00:57:01 그리고 또 다른 종류의 도핑은

00:57:04 산화화난 도핑입니다

00:57:32 이 종류의 도핑에 대해서는

00:57:35 시간은 없지만

00:57:38 산화화난 도핑을 추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

00:57:42 폴리아세틀렌은

00:57:44 이제 매우 중요한 종류의

00:57:47 생산 폴리아세틀렌입니다

00:57:49 이 종류의 폴리아세틀렌은

00:57:52 중국, 미국, 핀란드에서

00:57:55 3개의 파코리아세틀렌을 생산하고 있습니다

00:58:01 이 종류의 폴리아세틀렌을 이용하면

00:58:04 비산화화난, 리덕스하는 것에 의해서

00:58:07 전도성 폴리벌을 만들게 되는데

00:58:10 이 폴리아세틀렌은

00:58:12 굉장히 중요한 폴리벌로서

00:58:15 중국이나 미국이나 핀란드에서

00:58:18 많이 생산을 하고 있습니다

00:58:31 이 폴리아세틀렌을 이용해서

00:58:34 전도성 공제를 만드는 것은 매우 매우 쉬운 일이고요

00:58:37 저는 고등학생들과 함께 이 일을 같이 한 적이 있습니다

00:59:01 이 폴리아세틀렌은

00:59:04 폴리애널린의 흙을 사용합니다

00:59:07 에메랄린에다가 묽은 HCl, 이런 묽은 산을 집어넣고

00:59:13 슬림풀에서 이끼 같은 것을 죽이는 데 필요로 되는

00:59:16 그런 화학물을 집어넣으면

00:59:19 바로 어떤 파우더가 생기는데요

00:59:23 이것이 에메랄린 HCl 설치입니다

00:59:32 이렇게 화학적인 방법뿐만 아니라

00:59:35 전기화학적으로도 그에 의해서

00:59:38 전도성 공제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

00:59:56 그래서 이 전도성 공제를 가지고 있다가

00:59:59 그것을 NH4H2 약 연기를 이용해주면

01:00:05 다시 원상대로 돌아가서 두피가 깨지는 거죠

01:00:08 그래서 전기가 통하지 않는 물질로 다시 변환시키고

01:00:11 이런 일이 서로 왔다 갔다 하는 일이 가능합니다

01:00:29 이러한 과정들은 매우 어려운 과정들이었습니다

01:00:32 그러나 전 세계의 여러 그룹은

01:00:35 이 과정들은 솔루션으로 만들 수 있었다고 발표했습니다

01:00:38 이 과정은 전 지역의 연구를 많이 열었습니다

01:00:43 이 폴리아세틀렌의 경우

01:00:47 이 오리지널에 무언가를 녹여

01:00:51 솔루션을 만들고

01:00:54 그리고 그 솔루션을 그릇에 담아서

01:00:57 솔루션을 발효시키면

01:00:59 아름다운 그릇이 만들어집니다

01:01:25 여기에는 폴리아세틀렌의

01:01:29 비정상적인 형태의 솔루션이 있습니다

01:01:33 이 솔루션을 2-3분 동안

01:01:37 다이레놀에섯에 넣으면

01:01:40 메탈이 생성됩니다

01:01:43 매우 보라색입니다

01:01:46 이 솔루션은 안정적입니다

01:01:48 몇 년 동안 이 솔루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

01:01:51 이 솔루션은 전기적입니다

01:02:21 이 솔루션은 매일 등장하는

01:02:24 새로운 기술적 기술이 많습니다

01:02:27 하지만 이 솔루션은

01:02:30 디테일하게 설명하지 않겠습니다

01:02:33 이 솔루션을 사용하면

01:02:36 여러 가지 기술적인 응용을 할 수 있습니다

01:02:39 많은 부분은 삭제를 하고

01:02:42 설명을 해드리겠습니다

01:02:45 하지만 저는

01:02:49 전체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

01:02:52 하지만 제가 강조하고 싶은 것은

01:02:55 과학에서 아름다운 것입니다

01:02:58 기술적 이용 없이

01:03:01 아름다운 것입니다

01:03:29 많은 사람들이

01:03:32 제가 과학에 대한 설명을 들을 것입니다

01:03:35 매우 부끄럽게

01:03:38 그들은 언제든지

01:03:40 언제든지 말할 것입니다

01:03:42 그러나 어떻게 사용하는가?

01:03:44 여러분이 아시다시피

01:03:46 전 세계에서

01:03:48 여러 종류의 분야에서

01:03:50 계속 변화하고 있는

01:03:52 새로운 분야의

01:03:54 지식을 변화시키고 있습니다

01:03:56 과학의 분야는

01:03:59 지난 몇 년간

01:04:02 계속 변화하고 있습니다

01:04:06 과학의 분야의 의미는 무엇입니까?

01:04:09 이 분야는 완전히 새로운 세계입니다

01:04:27 과학은 계속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습니다

01:04:29 변화하는 것 중에서

01:04:30 가장 크게

01:04:31 붐을 이루면서

01:04:32 시작하는 분야가

01:04:34 나노사이언스

01:04:36 혹은 나노테크놀로지입니다

01:04:57 우리가 우주로 가거나

01:04:58 바닥 밑으로 가거나

01:05:00 신세계가 항상 열리게 되어있죠

01:05:19 그런 것처럼

01:05:20 우리가 어떤 물질에 대해서

01:05:21 이야기하는데도

01:05:23 점점 작게 들어가면

01:05:26 또 다른 새로운 신세계가 열리게 됩니다

01:05:53 제 학생들 중에서

01:05:55 제 머리에 있는

01:05:56 몇 개의 물질을

01:05:57 제 머리에 있는

01:05:58 50,000만 개의

01:06:00 나노테크놀로지

01:06:02

01:06:03 한 개의 머리에

01:06:04 50,000만 개의

01:06:07 나노테크놀로지

01:06:09 의 한 개의 머리에

01:06:10 50,000만 개의

01:06:12 나노테크놀로지

01:06:22 그리고 한쪽 면이라던지

01:06:23 그 길이가

01:06:24 100나노미터 이하가 되는 것들을 놓고

01:06:27 나노모테리어라고

01:06:29 정리를 하고 있습니다

01:06:31 그것을 예로 들기 위해서

01:06:32 제 머리카락을 생각해보겠는데

01:06:35 우리 학생이

01:06:36 제 머리카락 하나를 뽑았는데

01:06:38 그것을 위해서

01:06:39 직경을 재봤습니다

01:06:40 머리카락에 직경을 재봤더니

01:06:42 5만 나노미터였습니다

01:06:53 나노모테리어라는 것은

01:06:55 제 머리카락의

01:06:56 두께의

01:06:57 500분의 1 정도

01:06:58 입니다

01:07:18 그래서

01:07:19 나노모테리어는

01:07:20 실제로 얼마나 작는지

01:07:21 확인해보겠습니다

01:07:22 빛나는 빛은

01:07:24 400-700나노미터 정도의

01:07:26 웨이블링크입니다

01:07:29 그래서 우리는

01:07:31 가장 작은

01:07:32 웨이블링크의

01:07:33 웨이블링크

01:07:34 보다

01:07:35 아주 작은

01:07:36 웨이블링크

01:07:37 에 대해

01:07:38 이야기하고 있습니다

01:07:39 가장 작은

01:07:40 웨이블링크

01:07:41

01:07:42 대해서

01:07:43 이야기하고 있습니다

01:07:44 이것은

01:07:45 화색빛이지만

01:07:46 웨이블링크는

01:07:47 화색빛의

01:07:48 웨이블링크

01:07:49 입니다

01:07:50 가장 작은

01:07:51 웨이블링크는

01:07:52 화색빛의

01:07:53 웨이블링크입니다

01:08:07 나노모테리어는

01:08:08 전 세계에

01:08:09 다가가고

01:08:10 있습니다

01:08:11 여기

01:08:12 한국에

01:08:13 포함되어

01:08:14 있습니다

01:08:16 그래서

01:08:17 나노모테리어는

01:08:18 전 세계에

01:08:19 다가가고

01:08:20 있습니다

01:08:33 그래서

01:08:34 우리는

01:08:35 지금

01:08:36 1년

01:08:37 동안

01:08:38 2개의

01:08:39 지역을

01:08:40 합성하고

01:08:41 있습니다

01:08:42 나노모테리어

01:08:43

01:08:44 전기이라는

01:08:45 플라스틱을

01:08:46 전기적으로

01:08:47 합성시켜서

01:08:48 나노모테리어로

01:08:49 만들 수

01:08:50 있습니다

01:08:51 우리가

01:08:52 하고

01:08:53 있는

01:08:54 일은

01:08:55 우리가

01:08:56 여태까지

01:08:57 하고

01:08:58 있는

01:08:59 요즘

01:09:00 전기를

01:09:02 통하는

01:09:03 플라스틱을

01:09:04 어떻게

01:09:05 작게 작게

01:09:06 작게

01:09:07 해서

01:09:08 나노모테리어로

01:09:09 만들 수

01:09:10 있겠는까

01:09:11 에 대해서

01:09:12 의사의

01:09:13 의견을

01:09:14 드리겠습니다

01:09:15 우리가

01:09:16 여태까지

01:09:17 했던

01:09:18 익스페리먼트에

01:09:19 의하면

01:09:20 이 물질을

01:09:21 작게작게

01:09:22 만들수록

01:09:23 작게

01:09:24 작게

01:09:25 작게

01:09:26 작게

01:09:27 작게

01:09:28 작게

01:09:29 작게

01:09:30 작게

01:09:31 작게

01:09:32 작게

01:09:33 작게

01:09:34 작게

01:09:35 작게

01:09:36 작게

01:09:37 작게

01:09:38 작게

01:09:39 작게

01:09:40 작게

01:09:41 작게

01:09:42 작게

01:09:43 작게

01:09:44 작게

01:09:45 작게

01:09:46 작게

01:09:47 작게

01:09:48 نا

01:09:49 나노 사이즈

01:09:50 나노

01:09:51 나노

01:09:52 나노

01:09:53 땅을

01:09:54 날고

01:09:55 물을

01:09:56 낚아

01:09:57 주게

01:09:58 했던

01:09:59 디테일

01:10:00 another

01:10:01 part

01:10:03 the

01:10:04 tunnel

01:10:07 and also very cheap.

01:10:10 The total cost of doing what I will mention briefly is 825 USD for this transformer.

01:10:20 I am not suggesting to minister of science and technology

01:10:24 that the amount of financial support for science should be reduced

01:10:30 because there are many more expensive experiments that one can do.

01:10:34 The exciting part of manufacturing nanofiber is that the whole experimental equipment is very cheap.

01:10:42 If the whole experimental equipment costs 825 USD,

01:10:47 the whole experimental equipment can be completed with just 825 USD for the transformer.

01:10:56 So it is very exciting.

01:10:58 I am not suggesting to minister of science and technology that the amount of financial support for science and technology should be reduced

01:11:07 because there are many more expensive experiments that one can do with this transformer.

01:11:14 So, what all one does is very simple.

01:11:18 A piece of glass tubing about this size,

01:11:27 aluminum foil from the kitchen at home with scotch tape on a box.

01:11:33 Aluminum foil from the kitchen at home with scotch tape on a box.

01:11:43 A 25,000 volt transformer.

01:11:47 A piece of glass tubing which we fill with a solution.

01:11:57 Any solvent, almost water, chloroform and almost any polymer in here and put in a piece of wire and the negative one here.

01:12:27 We can melt it and put it in there and plug in the positive one.

01:12:35 But the negative one is connected to the aluminum foil.

01:12:39 Now, as we know, positively and negatively charged particles attract each other.

01:12:45 So we have a drop here positively charged, so that is attracted to the negative electrode here.

01:13:09 But everything in here is positively charged and we also know that similarly charged particles repel each other.

01:13:20 So all of the polymer molecules here repel each other once they get into the air here.

01:13:28 So the polymer molecules, all positively charged, repel each other and you get lots of little fibers which I'll show you in one moment.

01:13:39 If you have a positive charge all over the place, the polymer, solvent and everything else will have a positive charge.

01:13:46 As we know, if the positive charged particles get together, they will try to push each other away.

01:13:52 So as soon as you put it in the air, the polymers will push away the positive charge and run towards the negative electrode.

01:14:09 So when they get here, they repel each other.

01:14:12 So it means you get immediate instantaneous evaporation of solvent.

01:14:18 Here you have the polymer in solution, here you have a solid thin fiber.

01:14:39 So this gives an example then of, this is some of our early work of last year,

01:14:47 and although these fibers are still very, very small, 500 nanometers, 1,600 nanometers,

01:14:55 the solvents are still very, very small.

01:15:03 500 nanometers, 1,600, but still much, much, much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my hair, which is 50,000.

01:15:19 But we call these very big ones now.

01:15:22 And as you can see, this is polyaniline and polystyrene, a connecting polymer.

01:15:30 Here, all of the fibers here, their average diameter is 85 nanometers, the maximum is 100.

01:15:39 So this work has not yet appeared in print, but this one can get some idea how very simply.

01:16:00 My hair is thinner than my head, but the nanofiber is thicker.

01:16:05 We made something like that, and in the meantime, we mixed polystyrene with aniline,

01:16:11 and made a nanofiber that was about 86 nanometers thin.

01:16:30 Some of them will fall out here, so you can then collect individual fibers.

01:16:50 So here then, we have just placed a piece of copper wire, and this is a very large magnification,

01:17:00 and here you can see some of the fibers which are collected between the two pieces of copper and the wire.

01:17:07 But of course, there are hundreds and thousands of much smaller ones, which you cannot see,

01:17:28 so small that you cannot see them with the microscope at this magnification.

01:17:35 But if you want to get those, you can collect them by, as we show here,

01:17:48 by having a microscope slide with some gold electrodes, one here, another one here, and one of these fibers here.

01:18:05 So this gives an example of how we can measure some of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such a very small fiber that we cannot see,

01:18:33 and here we are measuring, we put a voltage to a fiber and measure the current that flows through it.

01:18:40 And there are many, many other things that one can do, one can make PN rectifying junctions, shock rejunctions, and the like.

01:18:49 So we feel that this is bringing in a whole new era of nanoelectronics.

01:19:03 So we know that all of these things can be done after nearly 25 years, we know that can be done.

01:19:29 So now we want to use these electronic fibers and do the same thing with these electronic fibers.

01:19:40 우리가 지난 25년간의 경험을 통해서, 다른 사람들의 경험을 통해서도, 우리가 여러 가지 종류의 다양한 전자장치, 이런 걸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.

01:20:10 이렇게 우리가 잘 알고 있는 고근자를, 전도선 고근자를, 또 이 나노과학의 응용을 하게 되면,

01:20:18 전자장치의 응용을 할 수 있으면, 정말 눈에 보이지도 않는 전자장치의 응용을 할 수 있습니다.

01:20:29 이렇게 우리가 잘 알고 있는 고근자를, 전도선 고근자를, 또 이 나노과학의 응용을 하게 되면,

01:20:41 전자장치의 응용을 할 수 있으면, 정말 눈에 보이지도 않게 작은 전자회로를 만들어낼 수 있지 않을까.

01:20:53 이게 그냥 상상만이 아니라, 정말 실현 가능성이 있는 그런 분야라고 생각을 하는데, 그것 때문에 우리는 NSF의 프로포즈를 제출하고 있습니다.

01:21:04 이제 마지막 몇 분이 남아있습니다.

01:21:08 여러분과 함께 나누고 싶습니다.

01:21:11 우리의 생각은 과학적인 것 같다고 들을 수 있겠지만,

01:21:16 제 아버지는 과학적인 책을 80일 동안 세계을 돌아다녔습니다.

01:21:28 과학적인 것 같다고 들을 수 있겠지만, 그것은 현실입니다.

01:21:38 이것이 과학의 속을, 즉, 실제 상황입니다.

01:22:08 이것은 아주 값싼 일회용 플라스틱이나 종이 전자회로, 이런 것들에 대한 응용의 예를 보여드리겠습니다.

01:22:38 플라스틱 전자회로는, 플라스틱 칩에 있는 홀리애믈린 원단을 잡고,

01:22:46 플라스틱 칩에 있는 홀리애믈린 원단을 잡고,

01:22:53 플라스틱 칩에 있는 홀리애믈린 원단을 잡고,

01:22:59 여기 폴란드의 펠립스 전자회사에서 현재 개발하고 있는 플라스틱 칩에 대한 글이 나와있는데,

01:23:06 이것은 우리의 손 정도 되는 사이즈이고요.

01:23:10 그것을 빛에다 이렇게 쬐어 놓으면, 그 안에 다 이렇게 선 같은 게 보이는 게 전자회로입니다.

01:23:15 이것이 어떻게 슈퍼마켓에서 이용이 될 수 있는데요.

01:23:59 저는 집에 이 비디오로 이 필름을 가지고 있는데요.

01:24:03 거기에 보면, 이 칩을 물건에다 붙여가지고,

01:24:07 슈퍼마켓에서 한 아주머니가 슈퍼마켓 수레에다가 이것을 잔뜩 싣고 가다가,

01:24:14 어떤 문 같은 것을 지나고 나면,

01:24:17 슈퍼마켓에서 산 모든 물건들의 값이 총액이 그냥 한꺼번에 찍혀 나오는 거죠.

01:24:22 일일이 그것을 하나하나 하는 게 아니라, 지나가기만 하면 바로 찍혀 나오는, 그런 용도로 아마 쓸 수 있을 것 같습니다.

01:24:52 슈퍼마켓에서 숙제하는 물건이 6개월 이상은 없어요.

01:24:56 슈퍼마켓은 6개월 이상은 없어서요.

01:25:00 그래도 저는 슈퍼마켓에 가고 있어요.

01:25:03 슈퍼마켓에서 물건들이 6개월 이상은 사라지고,

01:25:07 한국에서는 사실은 다른 것 같아요.

01:25:22 6개월 이라도 슈퍼마켓에서 사 먹는 음식은 6개월 이상은 오래 먹지 않을 테니까 쓸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.

01:25:52 슈퍼마켓은 많은 대학이 기술 전환을 하고 있습니다.

01:25:56 많은 대학이 기술 전환을 하고 있습니다.

01:26:00 학생들이 발견할 수 있는 기술은 매우 빠르게 산업에 옮겨집니다.

01:26:10 프리미엄 대학은 1년 전에 이 지역에 기술 전환을 한 회사로 돈을 받았습니다.

01:26:40 프리미엄 대학은 1년 전에 이 지역에 기술 전환을 한 회사로 돈을 받았습니다.

01:26:50 프리미엄 대학은 1년 전에 이 지역에 기술 전환을 한 회사로 돈을 받았습니다.

01:26:58 저는 간단한 부분을 말해드리겠습니다.

01:27:04 전 세계의 여러 지역에서 좋은 작업이 진행되고 있습니다.

01:27:09 전 세계의 여러 지역에서 좋은 작업이 진행되고 있습니다.

01:27:13 그러나 이 방법은 폴리머의 프린팅과 폴리머의 프린팅에 관련되지 않습니다.

01:27:26 이 방법은 폴리머의 프린팅과 폴리머의 프린팅에 관련되지 않습니다.

01:27:29 이 방법은 폴리머의 프린팅과 폴리머의 프린팅에 관련되지 않습니다.

01:27:48 이 방법은 비싼 제품을 1센트에 비해 1센트에 비해 비싼 제품을 1센트에 비해 비싼 제품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01:28:12 우리는 아주 값이 싼 제품을 추구하고 있습니다.

01:28:16 우리는 아주 값이 싼 제품을 추구하고 있습니다.

01:28:25 이 방법은 아시아에서 제공받는 제품과 함께 하는 것입니다.

01:28:39 이 방법은 아시아에서 제공받는 제품과 함께 하는 것입니다.

01:28:47 이 방법은 어떤 패턴을 그려도 됩니다.

01:28:49 이 방법은 어떤 패턴을 그려도 됩니다.

01:28:50 컴퓨터에서 전기차가 만들 수 있습니다.

01:28:54 컴퓨터에서 전기차가 만들 수 있습니다.

01:28:59 전기차가 만들 수 있습니다.

01:29:17 전기차가 만들 수 있습니다.

01:29:18 전기차가 만들 수 있습니다.

01:29:48 전기차가 만들 수 있습니다.

01:29:58 전기차가 만들 수 있습니다.

01:30:28 전기차가 만들 수 있습니다.

01:30:41 전기차가 만들 수 있습니다.

01:30:54 전기차가 만들 수 있습니다.

01:30:59 전기차가 만들 수 있습니다.

01:31:05 전기차가 만들 수 있습니다.

01:31:11 전기차가 만들 수 있습니다.

01:31:21 전기차가 만들 수 있습니다.

01:31:41 전기차가 만들 수 있습니다.

01:32:05 전도성 폴리머를 사용하여 프린팅을 합니다.

01:32:13 전도성 폴리머를 사용하여 프린팅을 합니다.

01:32:32 전도성 폴리머를 사용하여 프린팅을 합니다.

01:32:39 전도성 폴리머를 사용하여 프린팅을 합니다.

01:33:01 전도성 폴리머를 사용하여 프린팅을 합니다.

01:33:14 전도성 폴리머를 사용하여 프린팅을 합니다.

01:33:37 전자회로를 사용하여 프린팅을 합니다.

01:33:58 전자회로를 사용하여 프린팅을 합니다.

01:34:18 전기차를 사용하여 프린팅을 합니다.

01:34:38 전도성 폴리머를 사용하여 프린팅을 합니다.

01:34:56 전도성 폴리머를 사용하여 프린팅을 합니다.

01:35:21 전도성 폴리머를 사용하여 프린팅을 합니다.

01:35:39 전도성 폴리머를 사용하여 프린팅을 합니다.

01:35:59 전기차를 사용하여 프린팅을 합니다.

01:36:24 전기차를 사용하여 프린팅을 합니다.

01:36:52 전기차를 사용하여 프린팅을 합니다.

01:37:19 전기차를 사용하여 프린팅을 합니다.

01:37:42 전기차를 사용하여 프린팅을 합니다.

01:38:07 전기차를 사용하여 프린팅을 합니다.

01:38:37 전기차를 사용하여 프린팅을 합니다.

01:38:59 전기차를 사용하여 프린팅을 합니다.

01:39:27 미래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.

01:39:34 미래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.

01:39:42 미래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.

01:40:07 미래를 어떻게 예측할 수 있을까요?

01:40:36 미래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.

01:40:48 25년 동안 많은 사람들과의 소통을 인사드리겠습니다.

01:41:03 25년 동안 많은 사람들과의 소통을 인사드리겠습니다.

01:41:31 김 의원과의 소통을 인사드리겠습니다.

01:41:59 김 의원과의 소통을 인사드리겠습니다.

01:42:24 김 의원과의 소통을 인사드리겠습니다.

01:42:50 세계의 기술과 과학의 미래는

01:43:00 세계의 기술과 과학의 미래는

01:43:13 세계의 기술과 과학의 미래는

01:43:42 세계의 기술과 과학의 미래는

01:44:12 세계의 기술과 과학의 미래는

01:44:32 세계의 기술과 과학의 미래는

01:44:57 세계의 기술과 과학의 미래는

01:45:22 세계의 기술과 과학의 미래는

01:45:47 세계의 기술과 과학의 미래는

01:46:16 세계의 기술과 과학의 미래는

01:46:29 세계의 기술과 과학의 미래는

01:46:54 세계의 기술과 과학의 미래는

01:47:21 세계의 기술과 과학의 미래는

01:47:41 세계의 기술과 과학의 미래는

01:48:06 세계의 기술과 과학의 미래는

01:48:35 세계의 기술과 과학의 미래는

01:49:04 세계의 기술과 과학의 미래는

01:49:29 세계의 기술과 과학의 미래는

01:49:56 세계의 기술과 과학의 미래는

01:50:26 세계의 기술과 과학의 미래는

01:50:55 세계의 기술과 과학의 미래는

01:51:24 세계의 기술과 과학의 미래는

01:51:49 세계의 기술과 과학의 미래는

01:52:18 세계의 기술과 과학의 미래는

01:52:44 세계의 기술과 과학의 미래는

01:53:11 세계의 기술과 과학의 미래는

01:53:40 세계의 기술과 과학의 미래는

01:54:07 세계의 기술과 과학의 미래는

01:54:36 세계의 기술과 과학의 미래는

01:55:05 세계의 기술과 과학의 미래는

01:55:31 세계의 기술과 과학의 미래는

01:55:59 세계의 기술과 과학의 미래는

01:56:28 세계의 기술과 과학의 미래는

01:56:57 세계의 기술과 과학의 미래는

01:57:26 세계의 기술과 과학의 미래는

01:57:55 세계의 기술과 과학의 미래는